자제 개발한 LTE망 기반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정보를 종합 상황실에 실시간 전송
통합 원격 관제 솔루션으로 다수의 기체를
원격 관제 및 동시 제어 가능
LTE 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경우
거리 제한 없이 원격지에서 비가시 관제 가능
H프레임 Quad타입의 'QUAD-H4' 드론에
자체개발 소형 FCC 및 LTE 통신장치 적용
· 당사가 제안하는 드론 시스템은 자동비행에 기반한 비가시 비행을 기본 운용개념으로 하고 있습니다.
· 장거리 비가시 비행을 구현하기 위해 상용 이동통신망을 활용하는 LTE 통신 장치를 주 통신 채널로 사용하고 있으며, LTE망 두절 에 대비한 비상통신 채널로 RF장치를 탑재하고 있습니다.
· 상용 LTE 기반 통신망은 전용 서버에 접속하는 형태로, 별도의 인가된 단말과 ID에 대해서만 접근을 허용하는 폐쇄형 네트워크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· 당사의 LTE 기반 통신체계는 드론의 상태정보 및 영상 수신을 위한 DOWN LINK와 더불어 관제를 위한 UP LINK를 제공하므로, 드론이 상용 이동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경우 거리에 제한 없이
원격지에서 비가시 관제가 가능합니다.
· 이동통신망의 접속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원할하지 않을 경우 기체의 운항은 자동으로 정지비행 상태로 전환되며, 지정 시간 이상 통신이 회복되지 않을 경우 이륙지점으로 복귀하는 FAIL SAFE
기능이 적용되어 있습니다.
· 기존 상용 드론을 보안업무에 활용한 결과 비행기록 및 영상의 외부유출 이슈 발생
· 자제 개발한 LTE망 기반 폐쇄형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정보를 종합상황실에 실시간 전송
· 국정원 CC인증 SSL VPN 적용
LTE망 기반 폐쇄형 네트워크를 활용한
스마트 드론 통합 모니터링 센터 구축
양방향 정보 교류로 실시간 영상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 가능
통합 드론 운용 관제 센터로 거점 센터를
기점으로 다수 하위 센터 구축 가능
부산대학교 드론비행시험센터에 통합 드론 운용센터 위치
JDOC통제 / 지원 프로세스
· 비행환경 최종판단
· ADS-B정보지원
· 공역 및 NOTAM정보 지원
· 기상정보지원
· 기타 임무통제
· 안전사고대응지시
· 각종 현장 확인절차지원
· 자체개발 3세대 Flight Control Computer 상용화 추진 중 : 소형 멀티콥터 제어 및 추가센서 부착을 위한 고성능 DSP 탑재
· 자체개발 2세대 LTE통신장치 상용화 추진 중 : 상태정보 수신 및 제어명령 전송, 영상 동기화, FHD급 영상전송, 통신 3사 대응